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민주당, 대선체제로 전환···이재명, 조만간 대표직 사퇴할듯

기사승인 2025.04.04  13:12:13

공유
default_news_ad2

- 박찬대, 대표 권한대행···'압축 경선'으로 2017년보다 가속도 전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3월 26일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입장을 밝히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경선 룰'부터 협상 관심···'李 대세론'에 신경전 덜하리란 예상도

[시사코리아저널=정종민 선임기자] 헌법재판소가 4일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함에 따라 더불어민주당도 본격적인 대선 체제로 재편되는 모습이다.

당장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로 꼽히는 이재명 대표는 대표직에서 즉각 사퇴해 당내 경선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현재 당헌은 대선에 출마하려는 당 대표의 사퇴 시한을 '대통령 선거일 전 1년까지'로 규정하고 있으나, 특별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당무위 의결로 시한을 달리할 수 있게 했다.

현직 대통령 파면에 따른 조기 대선이라는 특수한 상황인 만큼 '1년 전 사퇴' 규정은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60일이라는 촉박한 시간을 고려하면 민주당도 곧바로 선거관리 모드로 들어가야 한다. 결국 '플레이어'로 뛰어야 하는 이 대표가 하루라도 빨리 대표직에서 물러나는 것이 본인은 물론 민주당을 위해서도 합리적인 선택으로 볼 수 있다.

이 대표가 물러나면 박찬대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당무를 책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대선이 지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대선과 유사한 환경임을 고려하면 당내 경선은 당시와 대동소이하게 치러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후보 선출 절차가 더 압축적으로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선거인단 모집부터 후보 선출까지 길어도 한 달 내에 마무리해야 하는데 지난 대선과 같이 전국을 일일이 순회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20대 대선을 앞두고 2021년 9월에 시작된 대선후보 경선 당시에는 한 달여에 걸쳐 전국 11개 권역에서 순회 경선을 치렀다.

그러나 2017년 19대 대선 후보 경선의 경우 전국을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강원·제주 등 4개 권역으로 나눠 순회 경선을 한 뒤 12일 만에 경선을 마쳤다.

선거인단 구성을 놓고는 경선 후보 간 줄다리기가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민주당은 그동안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로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안과 완전국민경선제로 후보를 선출하는 안을 놓고 고민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친명(친이재명)계는 권리당원에 이 대표 지지자가 압도적 다수인 만큼 전자를, 반대로 권리당원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비명(비이재명)계는 후자를 선호할 확률이 높다.

다만 현재 당내 여론 지형이 이 대표에게 상당히 유리하게 형성된 것이 사실인 만큼, '룰 문제'가 판세에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격한 공방이 이어지기보다는 무난하게 협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경선을 관리하는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누가 맡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당 안팎에서는 최대한 친명 색채가 옅은 중립적인 인물이 맡으면서 선거 관리의 중립성을 부각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종민 기자 korea21ci@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