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 현장 “에너지가 곧 산업경쟁력”이라고 입 모아
![]() |
SMR 기반 자가발전 · PPA 도입 등 산업 전력공급 대안 논의
허 의원 "다양한 논의들 바탕으로 후속 입법과 정책 과제 발굴"
[시사코리아저널=정종민 선임기자] 국회가 철강·데이터산업의 탄소중립을 가로막는 전력 수급 불안에 대해 해법을 모색했다.
허성무 국회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창원시 성산구)은 2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수소환원제철과 탄소저감을 위한 원전 활용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서울대학교 원자력정책센터가 주관하고, 포스코홀딩스가 후원했다.
이번 토론회는 철강·데이터 등 고에너지 산업이 탄소중립 전환 과정에서 겪는 전력 수급 불안과 비용 상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SMR(소형모듈원전) 기반 자가발전과 PPA(전력구매계약) 제도 개선 등 산업계 수요 중심의 에너지정책 방향이 집중 논의됐다.
허성무 의원은 “수소환원제철은 탄소저감 기술을 넘어 철강산업의 생존을 좌우할 중대한 전환”이라며 “에너지 기술 개발에만 머물 것이 아니라, 산업이 필요로 하는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국회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 |
허성무 국회의원이 2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수소환원제철과 탄소저감을 위한 원전 활용 정책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포스코홀딩스 손병수 상무는 발제를 통해 “수소환원제철은 고온·대용량 전기가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라며 “SMR 등 신에너지원이 산업단지와 연계돼야 기술이 실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산업을 대표해 참석한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채효근 전무는 “RE100 실현을 위한 전력 선택권 확보가 시급하며, 싸고 많은 전기보다 언제나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무환 전 포스텍 총장은 “수소환원제철이나 반도체, 데이터산업 등은 모두 막대한 전력이 필요한 분야”라며 “이제는 에너지가 산업경쟁력의 기반임을 인정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심형진 교수가 좌장을 맡아 산업계, 학계, 노동계, 정부의 입장을 조율했다.
박기철 한국원자력산업환경진흥협회 이사장은 “원자력 기반 수소에 대한 산업계 수요는 충분하지만, 현행 제도로는 기업이 선택할 수 없는 구조”라며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세진 원전산업정책국장은 “정부도 민간 중심의 SMR 실증단지 조성을 검토 중”이라며 “산업단지 중심으로 사업화를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허성무 의원은 “정치가 해야 할 일은 산업이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며 “오늘 나온 다양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후속 입법과 정책 과제를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는 탄소중립 산업 전환의 현실을 직시하고, 국회와 산업계가 함께 해법을 제시한 첫걸음이었다.
정종민 기자 korea21ci@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