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은 약이 아니라 독' 장기 방치는 금물
![]() |
손끝이 따끔따끔한 느낌이나 화끈거릴 때
손바닥 피부 감각이 둔해진 경우
운전 도중 손이 저린 경우 의심해야
[시사코리아저널=정종민 선임기자]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에 생기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보통 손을 많이 쓰는 사람에게서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주부다. 걸레를 짜거나, 무거운 후라이팬을 들거나 하는 동작은 지속적으로 손목에 부담을 준다.
최근에는 평범한 직장인들에게도 이 손목터널증후군이 나타나고 있다.
장시간 PC를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을 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손목에 무리가 갈 수 있기 때문이다.
![]() |
손목터널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손 저림과 손목 통증이다.
처음에는 보통 낮은 수준의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피로 때문인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조금 더 증상이 악화되었을 때에도 사람들은 보통 '손을 많이 써서 근육에 무리가 왔겠거니' 생각한다.
근육통은 휴식을 조금 취하면 나아지기에, 안심하고 버티는 사람들도 많다.
![]() |
하지만 전문가들은 손목터널증후군이 '근육 문제'가 아니라 '신경 문제'라며, 시간은 약이 아니라 독이라고 설명한다.
![]() |
연세건우병원 이상윤 원장 |
연세건우병원 이상윤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손목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손목터널에 염증이 생기거나 근육 또는 인대가 붓게 되는데, 이때 정중신경을 압박하면서 발생하는게 바로 손목터널 증후군"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그러면서 "정중신경은 엄지손가락과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손가락의 감각 절반과 엄지손가락의 운동 기능 일부를 담당하며 손의 감각이나 엄지를 이용해 물건을 집는 근육의 기능에 관여한다"면서 "이러한 증상을 장기적으로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나도 저절로 호전되지 않을 수 있는 게 문제"라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이 일반적인 근육통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연세건우병원 이상윤 원장은 “△손끝이 따끔따끔한 느낌이나 화끈거림이 있으며 저린 느낌 또는 통증이 생기는 경우 △엄지손가락, 둘째손가락, 셋째손가락, 넷째손가락의 엄지 쪽 반쪽 부위와 이와 연결된 손바닥 피부 감각이 둔해진 경우 △운전 도중 손이 저린 경우 △야간에 심한 통증이 반복되는 경우에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 |
만약,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지연된 경우에는 수술을 고민해봐야 한다.
이 원장은 “신경이란 작고 미세한 구조물이지만 몸의 감각과 기능을 관장하는 중요 구조물로 치료 적기를 놓치게 되면 뒤늦게 수술을 시행하더라도 온전히 회복되지 못해 후유장애를 남길 수 있다"면서 "그래서 적기에, 그리고 제대로 수술할 수 있는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 |
다만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술법의 발달로 수술의 부담이 적어진 것도 사실이다.
이 원장은 “최근에는 초소형 고해상도 관절 내시경으로도 수술이 가능한 데, 이렇게 할 경우 손목에 아주 미세한 구멍만 내어 수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도 적고 일상 생활로의 복귀도 빠르고 고해상도 내시경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아진다”며 “수술 후 빠르면 당일에도 퇴원이 가능하기에, 후유장애를 남기지 않기 위해서라도 상기된 증상에 해당한다면 병원을 찾아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
정종민 기자 korea21ci@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