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롯데카드, 해킹 사고 17일간 몰랐다···"결제내역 등 유출 의심"

기사승인 2025.09.02  18:11:24

공유
default_news_ad2

- 금감원, 강민국 의원실에 보고···"사고 발생 8월 14일, 파일 유출 2회"

롯데카드

긴급 현장검사 착수···롯데카드 "비밀번호 변경 안내할 것"

[시사코리아저널=김연학 기자] 롯데카드가 해킹 사고를 당하고도 보름 넘게 이를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제 내역 등 고객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금융당국이 긴급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2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롯데카드에 최초 해킹 사고가 발생한 시점은 지난달 14일 오후 7시 21분께다.

이날과 15일 이틀에 걸쳐 온라인 결제 서버 해킹이 이뤄졌는데, 실제 내부 파일이 외부로 반출된 것은 2회로 파악됐다.

해커는 지난달 16일에도 해킹 시도를 이어갔으나, 이때는 파일 반출에 실패했다.

그러나 롯데카드가 해킹 사고를 인지한 시점은 지난달 31일 정오께다.

사고 발생 후 17일이 지나서야 사태를 알게 된 셈이다.

금융당국 신고는 전날에서야 이뤄졌다.

롯데카드에 따르면 유출된 데이터 규모는 약 1.7기가바이트(GB) 정도로 파악됐다.

금감원은 반출 파일에 포함된 정보의 구체적 내용을 파악 중이다 .

다만 금감원은 "반출 실패한 파일을 토대로 추정할 때 카드 정보 등 온라인 결제 요청 내역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고객정보 유출 가능성을 염두에 뒀다는 의미다.

롯데카드도 금감원에 "백신 추가 설치, 악성코드 진단 조치 이외에 정보 유출 가능 고객을 확인해 카드 비밀번호 변경 등을 안내하겠다"고 보고했다.

금감원은 이날 사실관계를 확인을 위한 롯데카드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실관계를 신속히 규명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민국 의원은 "올해 6월까지만 해킹 사고 4건에 유출된 정보가 3천142건이나 된다"며 "해킹에 따른 피해에 비해 금융당국 제재 수위가 약한 것도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인정보 유출은 한번 터지면 2차, 3차 범죄로까지 이어지는 대형 금융 사고"라며 "해킹 사고에 금융당국의 제재 강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연학 기자 dusgkr0808@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