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김정은, 중러 정상과 어깨 나란히···다자 외교무대 첫 등장

기사승인 2025.08.28  19:51:51

공유
default_news_ad2

- 北 · 中, 김정은 베이징 개최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 동시 발표

광복 80주년 경축대회서 연설하는 김정은 /연합뉴스

"북 다자대화 시발점···북미정상회담 자극하는 역할 가능성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중국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열병식 참석은 김 위원장의 다자 외교무대 '데뷔'다.

이날 북한은 김 위원장이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제2차세계대전) 승전 80돌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곧 중국을 방문한다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밝혔다.

동시에 중국 측도 김 위원장을 포함한 외국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뇌 26명이 기념행사에 참석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발표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롯해 베트남과 라오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몽골, 파키스탄, 네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벨라루스, 이란 등의 정상이 기념행사에 참석 예정이며 한국의 우원식 국회의장도 이 명단에 포함됐다.

중국은 내달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식을 성대하게 개최할 예정이다.

시 주석의 연설과 함께 자국산 신형·현역 무기를 과시하는 열병식이 펼쳐지게 된다.

지난 2015년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한 각국 정상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내달 3일 기념식에서 시 주석, 푸틴 대통령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톈안먼 광장 성루에 설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의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은 열병식을 비롯해 다자 외교무대에 많이 참석했지만,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김 위원장 본인은 다자 무대에 선 적이 없다.

여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다뤄지는 다자 무대는 최고지도자가 주인공이어야 하는 북한의 '유일 영도체계' 성격과 맞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스스로 국제적 고립을 자초한 것도 이유로 꼽힌다.

그러나 이번 중국 승전 기념식 참석으로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린 가운데 중국이 미국의 경쟁자로서 위세를 과시하는 다자 외교무대에 김 위원장이 화려하게 데뷔하게 되는 셈이다.

김 위원장으로서는 북·중·러 연대의 구도가 부각되며 시진핑·푸틴과 대등한 지도자이자 외교무대의 주연으로 국제사회와 주민들에게 각인할 수 있다는 기대로 다자 무대 데뷔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앞두고 중국과 관계 강화 포석도 깔린 것으로 평가된다.

기념행사에 함께 참석한 상하이협력기구(SCO) 및 브릭스(BRICS) 등 비(非)서방권 정상들과 연쇄 회동이 성사될지도 주목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러시아는 전쟁 종식 후 유럽 쪽에 정책 초점을 이동할 것이므로 북한으로서는 중국을 새로운 뒷배로 삼아야 한다"며 "북한으로서는 한동안 소원했던 북중관계를 회복해야 하는 상황에서 중국 열병식 참석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이 북한과 다자 대화의 시발점이 되고 북미 정상회담을 자극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시사코리아저널 webmaster@koreajn.co.kr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