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부터 11월까지 화려한 색의 옷으로 갈아입고 방문객들 기다려
![]() |
홍련과 백련으로 덮인 정양늪생태공원의 여름 풍경 /김도형 작가 제공 |
20여 종 어류 · 239여 종 곤충 · 50여 종의 조류 · 11여 종 포유류와 285여 종 식물 자생
생태학습관 뒤편서부터 탐조대 2곳과 메타세쿼이아 숲길 · 징검다리 2곳 걸어보자
천연기념물 보고 정양늪 생명 길인 둘레길 코스는 2.8km로 소요 시간은 약 45분
[시사코리아저널=정종민 선임기자] 합천군 대양면에 있는 정양늪 생태공원은 합천 8경 중의 한 곳으로 7월부터 11월까지 화려한 색의 옷으로 갈아입고 방문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2025년 찾아온 여름의 정양늪은 짙은 녹색의 연잎으로 가득하고 그 사이로 백련과 홍련이 꽃을 피워 아름다운 자태로 바람결에 흔들리며, 유혹하는 모습에 탐방객들은 자연스럽게 휴대전화를 꺼내 들고 그 모습을 촬영하기도 한다.
연잎 위로 날아다니는 다양한 잠자리들 밑으로 호시탐탐 잠자리들이 내려앉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금개구리들의 시선 속에 텃새가 되어버린 청둥오리들이 어린 새끼들을 데리고 유유히 헤엄치며 연잎 사이로 숨는다.
그중에서도 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나비잠자리가 연꽃봉우리 위에 앉아 햇빛의 방향에 따라 화려한 색으로 변화하는 모습에 아이는 눈을 떼지 못하고 잡고 있던 부모의 손을 놓고 한참을 쳐다보기도 한다.
![]() |
정양늪 연 봉우리에 앉아 있는 나비잠자리의 자태 /김도형 작가 제공 |
정양늪생태공원 내에는 생태학습관과 정양늪 생명 길, 관찰 데크 등이 조성돼 있으며, 정양늪 생태 학습체험장을 운영하고 있어 정양늪 환경 생태 해설사의 도움으로 동식물들을 찾아보고 관찰할 수 있다.
합천 정양늪 면적은 41만㎡에 둘레는 3.2km로 다른 지역 습지에 비해 작은 규모지만 △20여 종의 어류 △239여 종의 곤충 △50여 종의 조류 △11여 종의 포유류와 285여 종의 식물이 살고 있다.
특히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 수달과 2급 큰고니, 멸종위기종 △2급 삵 △모래주사 △큰기러기 △큰말똥가리 △금개구리 △남생이 등 다양성은 어느 습지에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생태학습관 뒤편에서부터 탐조대 2곳과 메타세쿼이아 숲길을 걸어 징검다리 2곳을 지나 관찰 데크길을 통해 생태학습관까지로 이어지는 정양늪 생명 길인 둘레길 코스는 2.8km로 소요 시간은 약 45분이면 누구나 돌아볼 수 있다.
![]() |
금개구리가 연잎 사이에 숨어 잠자리를 잡아먹은 날개의 흔적을 남긴 채 또 잠자리를 기다리고 있다. /김도형 작가 제공 |
무더운 날씨에도 정양늪 생명 길에 들어서면 다양한 새 소리와 가벼운 바람에도 한여름 속 청량함을 느낄 수 있어 방문객들과 주변 주민들이 깨끗하고 상큼한 공기를 마시며 새벽 산책이나 운동을 위해 자주 찾는 장소로, 최근 걷기 좋은 곳으로 알려지면서 인기를 끌고 있다.
군 관계자는 “정양늪생태공원은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자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명의 터전으로, 우리뿐 아니라 아들과 손자, 그들의 후손들에게까지 반드시 물려줘야 할 소중한 환경 생태계 유산”이라며 “작은 곤충부터 금개구리, 큰고니, 수달 등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정양늪 생태공원에 많은 분들이 방문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짙어진 녹색의 정양늪 둘레길의 나무 그늘 아래를 걷고 있는 여인들의 모습 /김도형 작가 제공 |
정종민 기자 korea21ci@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