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동대구∼창원 고속철' 도입 여론 불붙는다···범시민추진위 발족

기사승인 2025.10.21  03:35:29

공유
default_news_ad2

- 내달 16일까지 진행하는 10만명 목표 서명운동에 힘 보탤 계획

창원시는 14일 창원중앙역에서 장금용 창원시장 권한대행이 참여한 가운데 KTX 이용객을 대상으로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의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가졌다.

[시사코리아저널=정종민 선임기자] 창원에서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의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 반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8일 오전 창원중앙역에서 '창원 KTX 고속철도 반영을 위한 범시민추진위원회' 발대식이 열렸다.

범시민추진위에는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국회의원실, 창원YMCA, 국립창원대, 한국노총 창원·마산지부, 창원상공회의소, 경남경영자총협회 등 창원지역 각계가 참여한다.

범시민추진위는 발대식에서 올 연말 정부가 확정·고시할 예정인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동대구∼창원 고속철 사업이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단체는 시가 최근 시작해 내달 16일까지 진행하는 10만명 목표 서명운동에도 힘을 보탤 계획이다.

창원은 비수도권 유일 특례시(인구 100만 이상)이지만, 철도교통 인프라가 열악하다.

경전선 KTX를 타고 서울∼동대구∼창원을 편도 이동하는 데만 3시간 이상이 걸려 불편하다는 시민들 민원이 잇따른다.

KTX만 다니는 고속 전용선인 서울∼동대구∼부산 구간과 달리, 현재 동대구∼창원 구간은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함께 운행하는 저속 일반철도로 돼 있어서다.

동대구∼창원 고속화철도가 구축되면 창원∼서울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 20분대로 단축돼 수도권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대구∼창원∼부산을 연결하는 초광역 경제권 형성으로 산업·물류·관광 분야 혁신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범시민추진위 관계자는 "창원은 100만 특례시이자 산업 중심지임에도 고속열차 운행 부족 등 교통권 불균형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며 "시민사회, 지역단체, 정당이 힘을 모아 동대구∼창원 고속철 도입을 위한 여론 형성과 서명운동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종민 기자 korea21ci@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