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육군 부사관 충원율, 5년새 95%→42% 급락"

기사승인 2025.10.22  13:29:33

공유
default_news_ad2

- 8,100명 정원 중 3,400명만 충원···황희 "간부 인력관리 체계 재설계해야"

지난 5월 29일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주관으로 전북 익산시 육군부사관학교에서 열린 '25-1기 육군 부사관 임관식'에서 임관 부사관들이 임관 선서를 하고 있다. /육군 제공

[시사코리아저널=정종민 선임기자] 군 초급간부의 열악한 처우가 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육군 부사관 충원율이 최근 5년 새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이 각 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육군 부사관 충원율은 2020년 95%에서 지난해 42%로 53%포인트(p) 급감해 전군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육군 부사관 선발정원은 8,100명이었으나, 실제론 3,400명만 충원돼 선발 정원 대비 절반도 채우지 못했다.

같은 기간 해군 부사관은 90%에서 55%로, 공군 부사관은 100%에서 69%로, 해병대 부사관은 98%에서 76%로 각각 하락했다.

신규 충원 부진 속에서 숙련된 간부들의 이탈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5년간 전역한 중·장기복무 제대군인은 2020년 6,877명에서 지난해 9,523명으로 38.5% 증가했다.

정년이나 명예전역 등 기타 전역 사유를 제외한 '희망전역' 신청자는 2020년 3,154명에서 꾸준히 늘어 지난해 5,506명에 달했다.

특히 육군 부사관 희망전역자는 2020년 1,147명에서 지난해 2,480명으로, 해군 부사관은 228명에서 615명으로 각각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황 의원은 "병력 감축으로 병사 충원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군 간부 체계마저 흔들리면 군의 전투력과 지휘체계 유지에 심각한 공백이 생길 수 있다"며 "처우 및 복무환경 개선, 진급 구조 합리화 등 간부 인력관리 체계를 전면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종민 기자 korea21ci@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