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안동에서 다시 쓰는 저항의 기록, ‘뮤지컬 이육사’

기사승인 2025.09.08  11:53:27

공유
default_news_ad2

- 수인번호 264, 이육사의 삶과 시를 무대로 복원

[시사코리아저널=김연학 기자] 안동의 정신을 무대에서 다시 만난다. 세계유교문화재단(대표 채환규)이 주최·주관하는 '2025 뮤지컬 이육사'가 오는 9월 12일(금)부터 14일(일)까지 매일 오후 7시, 안동탈춤공연장에서 막을 올린다.

올해로 9회를 맞은 이번 공연은 안동 출신 신택기 연출가가 참여해 의미를 더한다. 그는 앞서 뮤지컬 〈안동역에서〉, 〈부용지애〉 등을 통해 안동의 이야기를 무대화해 온 연출가로, 이번 작품에서는 이육사의 치열한 삶을 보다 깊이 있게 해석한다. 주인공 이육사 역은 영화배우 박광현이 맡았으며, 서울에서 활동 중인 안동 출신 배우 박혜민, 신가영 등이 함께 무대에 올라 지역 예술인들의 정체성과 에너지를 담아낸 무대를 선보인다.

뮤지컬은 ‘이원록’이라는 이름보다 수인번호인 ‘264’로 불렸던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이육사의 삶과 시에 담긴 저항의 메시지를 바탕으로 한다. 억압의 시대 속에서도 이상과 신념을 지켜낸 그의 이야기를 상징적 인물과 시적 상상력을 통해 그려내며, 오늘의 우리에게 살아 있는 질문을 던진다.

특히 이번 무대는 1910~40년대의 격동의 시대와 2025년의 현재를 넘나들며, 자아를 상징하는 인물 ‘264’를 통해 과거와 현재, 기억과 인식을 오가며 시적인 대화를 펼친다. 올해 공연은 강화된 상징성과 탄탄한 서사를 바탕으로, 이육사의 정신을 오늘의 관객에게 울림 있게 전할 예정이다.

관람료는 5,000원이며, 지역화폐 연계 페이백 제도를 통해 전액을 지역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 공연 예매는 (재)세계유교문화재단 누리집에서 가능하며, 문의는 누리집 또는 전화(☎ 054-851-7126)로 하면 된다.

김연학 기자 dusgkr0808@hanmail.net

<저작권자 © 시사코리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