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국 성과와 의미를 군민들에게도 알리기 위해
![]() |
| 고성 송학동 고분군 14호분 발굴현장 군민공개 |
[시사코리아저널=정종민 선임기자] 경남 고성군은 6일 고성 송학동 고분군 14호분 발굴조사 현장을 군민에게도 공개했다고 밝혔다.
군은 지난달 31일 경남도가 송학동 고분군 현장에서 학술자문회의를 열고 14호분 발굴조사 결과를 공개한 가운데 그 성과와 의미를 군민들에게도 알리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도와 국가유산청은 송학동 고분군 14호분을 대상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 발굴조사를 시행한 바 있다.
그 결과 송학동 고분군 14호분은 남북 길이 47.5m, 동서 길이 53m, 높이 7.6m에 이르는 원형 봉토분이면서 가야권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고분으로 재확인됐다.
발굴단은 봉분에 돌을 깔고 흙을 쌓는 축조방식도 가야권 고분 축조 기술의 표준모델이라고 평가했다.
또 석곽묘에서 대도(大刀·칼), 갑주(甲胄·갑옷과 투구), 철모(鐵矛·철제 창) 등 무기류, 소가야계 토기류가 다량 출토된 것은 14호분이 5세기 중엽 소가야 왕묘급 고분임을 시사한다고도 설명했다.
이상근 고성군수는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가야권역 내 최대 고분군의 실체와 함께 소가야 특유의 토목기술이 밝혀졌다"며 "현재 추진 중인 송학동 고분군의 국가사적 지정구역 확대와 복원정비사업을 연속성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성 송학동 고분군은 5∼6세기 소가야 지배층 무덤군이다.
이 고분군에서는 소가야 지배층의 대외교류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들도 출토된 바 있다.
정종민 기자 korea21ci@hanmail.net
